🏠 청년 전세임대주택 완벽 가이드
보증금 1% 부담으로 전세 입주!
최대 1.2억원 전세자금을 정부가 대출 지원
✅
수도권 최대 1.2억원 지원
✅
보증금의 1~5%만 부담
✅
최장 6년 거주 가능
대상연령
만 19~39세
수도권지원
1.2억원
지방지원
9천만원
거주기간
최장 6년
📋 지원대상 상세안내
| 구분 | 내용 |
|---|---|
| 연령 |
•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 • 대학생: 만 19세 미만도 가능 • 취업준비생: 부모와 별도 거주 |
| 소득요건 |
• 무소득자 ~ 중위소득 100% 이하 • 1인가구: 월 약 220만원 이하 • 신혼부부: 중위소득 120% 이하 • 대학생: 부모 소득 포함 |
| 자산요건 |
• 총자산 3.61억원 이하 • 자동차 3,683만원 이하 • 무주택자 |
| 우선순위 |
• 1순위: 생계·의료급여 수급자 • 2순위: 보호종료아동, 한부모가족 • 3순위: 일반 청년 |
💸 지원내용 및 조건
지원 한도
수도권
• 최대 1.2억원
• 서울: 1.2억원
• 경기·인천: 1억원
지방
• 광역시: 8천만원
• 기타 지역: 6천만원
• 최대 1.2억원
• 서울: 1.2억원
• 경기·인천: 1억원
지방
• 광역시: 8천만원
• 기타 지역: 6천만원
본인 부담금
• 임대보증금: 100~500만원
• 월 임대료: 보증금의 연 1~2% ÷ 12
• 예시: 1억 지원 시
- 보증금 200만원
- 월세 약 8~16만원
• 월 임대료: 보증금의 연 1~2% ÷ 12
• 예시: 1억 지원 시
- 보증금 200만원
- 월세 약 8~16만원
주택 조건
• 전용면적 85㎡ 이하
• 1인: 60㎡ 이하 권장
• 전세 또는 보증부월세
• 신축 또는 준공 15년 이내 우선
• 1인: 60㎡ 이하 권장
• 전세 또는 보증부월세
• 신축 또는 준공 15년 이내 우선
📝 신청방법 단계별 안내
1
입주 신청
LH 청약센터 온라인 신청
2
자격 심사
소득·자산 조회 및 서류 심사
3
대상자 선정
순위에 따른 입주자 선정
4
주택 물색
희망지역 내 주택 탐색 (3개월)
5
계약 체결
LH-집주인-입주자 3자 계약
🏢 신청 유형별 특징
기존주택 전세임대
• 입주자가 직접 주택 물색
• 희망 지역 선택 가능
• 3개월 내 주택 확정 필요
청년 매입임대
• LH 보유 주택 입주
• 즉시 입주 가능
• 주택 선택 제한적
• 보증금 더 저렴 (50~100만원)
• 입주자가 직접 주택 물색
• 희망 지역 선택 가능
• 3개월 내 주택 확정 필요
청년 매입임대
• LH 보유 주택 입주
• 즉시 입주 가능
• 주택 선택 제한적
• 보증금 더 저렴 (50~100만원)
필요서류 안내
- 주민등록등본
- 가족관계증명서
- 소득증빙서류 (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등)
-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
- 재학증명서 (대학생)
- 졸업증명서 (취업준비생)
- 임대차계약서 (주택 확정 후)
❓ 자주 묻는 질문
Q. 원룸, 오피스텔도 가능한가요?
▼
네, 가능합니다. 주거용 오피스텔, 고시원(별도 협의), 원룸 모두 가능합니다. 단, 전용면적과 전세금 한도 내여야 합니다.
Q. 보증부월세도 가능한가요?
▼
네, 가능합니다. 보증금과 월세를 환산하여 지원한도 내에서 가능합니다. 월세는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.
Q. 재계약이 가능한가요?
▼
2년 단위로 최대 3회(총 6년)까지 재계약이 가능합니다. 단, 자격요건을 계속 충족해야 하며, 만 40세가 되면 퇴거해야 합니다.
Q. 주택을 못 구하면 어떻게 되나요?
▼
3개월 내 주택을 구하지 못하면 자격이 취소됩니다. 단, 1회에 한해 3개월 연장이 가능합니다.
문의처
최종 안내사항
본 정보는 2025년 1월 기준이며, 상시 모집하고 있습니다.
지역별로 물량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