💵 청년 전월세지원 완벽 가이드
월세 최대 20만원 현금 지원!
청년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는 월세 지원금
✅
월 최대 20만원씩 12개월 지원
✅
연간 최대 240만원 현금 지급
✅
최대 2년간 지원 가능
대상연령
만 19~34세
월 지원금
20만원
연간 지원
240만원
지원기간
최대 2년
📋 지원대상 상세안내
| 구분 | 내용 |
|---|---|
| 연령 |
•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• 독립거주 청년 • 부모와 별도 거주 (주민등록 분리) |
| 소득요건 |
• 청년 본인: 중위소득 60% 이하 • 1인가구: 월 약 130만원 이하 • 원가구(부모): 중위소득 100% 이하 |
| 주거요건 |
• 보증금 5천만원 이하 • 월세 60만원 이하 • 전용면적 60㎡ 이하 • 주택, 오피스텔, 고시원 등 |
| 제외 대상 |
• 주택 소유자 • 직계존속·형제자매 임대 • 공공임대주택 거주자 • 타 주거급여 수급자 |
💸 지원내용 상세
지원금액
• 월 최대 20만원
• 실제 월세의 90% 지원
• 월세 22만원 이상: 20만원 정액
• 월세 22만원 미만: 실제 월세의 90%
• 매월 25일 본인 계좌 입금
• 실제 월세의 90% 지원
• 월세 22만원 이상: 20만원 정액
• 월세 22만원 미만: 실제 월세의 90%
• 매월 25일 본인 계좌 입금
지원 예시
• 월세 30만원 → 20만원 지원
• 월세 25만원 → 20만원 지원
• 월세 20만원 → 18만원 지원
• 월세 15만원 → 13.5만원 지원
• 월세 25만원 → 20만원 지원
• 월세 20만원 → 18만원 지원
• 월세 15만원 → 13.5만원 지원
의무사항
• 매월 월세 납부 증빙 제출
• 주소지 변경 시 신고
• 소득 변동 시 신고
• 허위신고 시 환수 조치
• 주소지 변경 시 신고
• 소득 변동 시 신고
• 허위신고 시 환수 조치
📝 신청방법 단계별 안내
1
온라인 신청
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방문
2
서류 제출
임대차계약서 등 제출
3
소득·재산 조사
본인 및 부모 소득 확인
4
지원 결정
지원금액 확정 통보
5
매월 지급
월세 납부 확인 후 지급
💰 보증금-월세 환산 기준
환산 방법
보증금의 2.5% ÷ 12 = 월세 환산액
예시
• 보증금 1천만원, 월세 40만원
→ 환산: (1천만원 × 2.5%) ÷ 12 = 2만원
→ 환산월세: 40만원 + 2만원 = 42만원
→ 지원금: 20만원 (최대)
• 보증금 3천만원, 월세 20만원
→ 환산월세: 20만원 + 6만원 = 26만원
→ 지원금: 20만원 (최대)
보증금의 2.5% ÷ 12 = 월세 환산액
예시
• 보증금 1천만원, 월세 40만원
→ 환산: (1천만원 × 2.5%) ÷ 12 = 2만원
→ 환산월세: 40만원 + 2만원 = 42만원
→ 지원금: 20만원 (최대)
• 보증금 3천만원, 월세 20만원
→ 환산월세: 20만원 + 6만원 = 26만원
→ 지원금: 20만원 (최대)
필요서류 안내
- 임대차계약서 사본
- 월세 납부 증빙 (통장사본 등)
- 주민등록등본 (부모 분리)
- 가족관계증명서
- 소득금액증명원
- 부모 소득증빙서류
- 통장사본 (지원금 수령용)
❓ 자주 묻는 질문
Q. 전세도 지원받을 수 있나요?
▼
아니요. 월세(보증부월세)만 지원 대상입니다. 전세는 청년전세대출 등 다른 제도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.
Q. 부모와 같은 시에 살아도 되나요?
▼
네, 가능합니다. 주민등록상 분리되어 있고 실제 독립 거주하면 됩니다. 단, 같은 건물은 불가능합니다.
Q. 이사를 가면 어떻게 하나요?
▼
새로운 임대차계약서를 제출하면 계속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 단, 새 주택도 지원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.
Q. LH 임대주택도 가능한가요?
▼
공공임대주택은 지원 대상이 아닙니다. 민간 임대주택만 가능합니다.
문의처
최종 안내사항
본 정보는 2025년 1월 기준이며, 상시 신청 가능합니다.
지원 대상 여부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모의계산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